본문 바로가기
Coding/Linux, Unix

Fedora8에서 VNC 설치하기

by 생각하는대로살자 2011. 9. 19.

아...글에 들어가기 앞서..
VNC 한 번 써보겠다고 정말이지 캐삽질 했다..별거 아닌 걸로...
온갖 구박 다 받으면서...ㅠㅠ

리눅스 / 유닉스 계열은 손대본지 11년만이라 명령어는 다 까먹었지...서버쪽이랑 담 쌓았었는데..
다들 손대기 싫어라 하고, 그나마 개발서버 세팅을 하기 위해서 뭐뭐가 설치되어야 하는지 아는 사람이 나밖에 없어서 나도 모르는 주제에, 어쩔 수 없이 손을 댔는데.. 

아무튼 성공했는데...결론은 구박-_- 이었다네...

 < VNC 설치 환경 (내가 설치한 환경 기준) >

  OS : Fedora 8

 
<VNC 설치하기>

 1. VNC Server  설치

  (1) vnc 설치여부 확인하기

      [root@localhost ~]# rpm -qa vnc-server

      vnc-server-4.1.2-24.fc8

       : 처음엔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. 그래서 다음 (2) 항과 같이 설치하기로 했다. (지금이야 완료했으니 정보가 저렇게 뜨지만.)

 

  (2) vnc 설치하기

    [root@localhost ~]# yum install vnc-server

   : 이래 놓으면 지가 알아서 다운 받아서 설치한다. 중간에 y/n 묻는거 나오는데, 난 다 y 눌렀다.

 

  (3) KDE 환경 설정하기

     - 내가 찾은 문서들에선 죄다 #vi /etc/sysconfig/vncserver   와 같이 직접 열어서 하라는데, 그렇게 하니 새 파일이 열리더라..그래서 무식하게 걍 gnome 환경에서 보이는 컴퓨터 아이콘을 클릭해서 파일시스템으로 찾아 들어가서 직접 vncserver을 열어서 수정했다. -_-;;

그리하야...다음과 같이 설정했다.

 다른거 다 필요없고 서버 넘버링과 디스플레이 인자를 설정해주어야 하는데..

   # VNCSERVERS="2:lina"

  # VNCSERVERARGS[2]="-geometry 1024x768 -nolisten tcp -nohttpd -localhost"

  # VNCSERVERS="1:root"

  # VNCSERVERARGS[1]="-geometry 1024x768 -nolisten tcp -nohttpd -localhost"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: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:
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:

 

이런 식으로 사용할 유저들을 모두 추가해 주었다. 물론 이런 작업전에 사용자 계정과 패스워드는 다 만들어져 있어야 한다.

이는 비단 리눅스 계정 뿐만 아니라 VNCSERVER 상에서 사용할 유저계정과 패스워드도 마찬가지다.

여기서 잠깐 리눅스 계정 만들기와 VNCSERVER 에서 유저 계정 및 패스워드 만드는 방법을 보고 넘어가자.

(참고로 나 리눅스에서 굉장히 무식하다. 고로 패스워드도 내 멋대로 설정해 줬다. 정석이 아닐 수도 있다는 점, 미리 밝힌다. -_-;;; )

 

  (가) 리눅스 상에서 유저계정 만들기

     [root@localhost ~]# adduser 계정이름

     [root@localhost ~]# passwd 계정이름

 

    : 요렇게 치면 패스워드 입력하는 란이 나오고 다시한번 확인하는 부분이 나오면 또 입력. => 완료

 

  (나) VNCSERVER 상에서 사용할 계정 생성 및 패스워드 설정

      [root@localhost ~]# su 계정이름 (예, lina)

      [lina@localhost ~]$cd .vnc

      [lina@localhost  .vnc]$ vncpasswd

      password: 암호입력

      verify: 다시한번 입력

 

  (4)  내가 사용할 환경 설정하기

   - 해당 계정의 .vnc 디렉토리로 옮겨간다.

   - vi xstartup 에서 다음과 같이 편집한다.

 

#!/bin/sh

# Uncomment the following two lines for normal desktop:
unset SESSION_MANAGER
exec /etc/X11/xinit/xinitrc

[ -x /etc/vnc/xstartup ] && exec /etc/vnc/xstartup
[ -r $HOME/.Xresources ] && xrdb $HOME/.Xresources
xsetroot -solid grey
vncconfig -iconic &
xterm -geometry 80x24+10+10 -ls -title "$VNCDESKTOP Desktop" &
twm &
export GTK_IM_MODULE=scim
#gnome-session &
startkde &

   (5) 아......여기서부터 진짜 삽질한 부분이다. 이거 정말 찾아도 안나오다가 마지막에 발견한 자료 맨마지막에 나오더라..

     - 행여 이렇게 해놓고 서버 스타팅 시키거나 했는데 "no displays configured" 나오는 사람 있거들랑 이렇게 해보시라...

 

#chown root:root xstartup

#chmod +x xstartup

 

참고로 여기서 root는 사용자 아이디를 의미한다.

 
  (6) 뭐 서버는 이미 잘 돌아가고 있겠지만 혹시 실행을 안시켜 놨다면... vncserver -start 해줘도 되고...

 

 

 2. VNC Client  설치

 

윈도 xp 기준이다.  xp(클라이언트)에서 리눅스(서버)로 접속을 하려면 아무 vnc view나 다운 받은 후에 이를 실행시키면 서버 주소 넣는 곳에 ip 넣어주고 그 다음이 포트번호를 넣어주면 되는데 내 보기엔 굳이 포트 번호라기보다는...vncserver를 실행시켜주었을때 생성된 데스크탑 넘버..를 넣어주면 접속이 되는 것 같다.

부족한 글이긴 한데, 나중에 다시 손 보기로 하고...이정도에서 캐삽질 설치하기는 마무리...ㅠㅠ

 

'Coding > Linux, Uni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Windows에서 GCC로 코딩하기  (0) 2009.08.07